컨텐츠 영역
주요과목
-
- 이론
- IoT정보통신기기, 컴퓨터구조와운영체제, 정보통신실무기초, 디지털공학, 통신네트워크, IoT융합서비스기술, 정보보호, 네트워크서비스관리실습, IoT하드웨어시스템
-
- 실습
-
- IoT컴퓨팅기초실습, 윈도우서버실습, 디지털공학실습, 데이터베이스실습, 프로그래밍기초실습, 프로그래밍기초 및 응용 실습, 리눅스서버실습, 서버구축응용실습, 통신네트워크실습, 네트워크보안실습, 정보통신회로기초 및 응용 실습, 자바응용실습, 정보보호 실습, 정보통신캡스톤디자인, 현장실습, 콘텐츠전송기술실습, IoT무선통신제어실습, 무선통신응용실습, 시스템보안실습
교과과정
-
- IOT정보통신기기 (Information & Communication Equipment)
- 음성통신 시스템기기, 데이터통신 시스템기기, 이동통신 시스템기기, 위성통신 시스템기기, 화상통신 시스템기기, 멀티미디어통신 시스템기기 등 각종 정보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및 단말기기를 배운다.
-
- 컴퓨터구조와운영체제 (Computer architecture and operating system)
- 하드웨어 사양을 선정하고 설치하는 업무와 컴퓨터 구조 이해의 기본이 되는 수치, 문자 데이터 표현, 진법변환, 논리연산 이해, CPU,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이해 등에 대해 배운다.
-
- 정보통신실무기초 (Information Communication Practice Basic)
- 정보통신의 정의, 개요, 구성요소, 정보통신 계층 모델, 디지털 및 아날로그 변환, 다중화, 정보통신 응용 서비스에 대한 이론을 배운다.
-
- 디지털공학 (Digital Engineering)
- 디저털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논리회로, 순차회로, 연산회로, 동기 비동기 카운터, 직 병렬 데이터 전송 레지스터 등에 대해 배운다.
-
- 통신네트워크 (Communications Network)
-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토콜, 인터넷 네트워크 장비 기능, 각종 유선, 무선 통신케이블을 학습하며 네트워크 응용서비스, 네트워크 보안기술, 네트워크 관리기능에 대해 배운다.
-
- IoT융합서비스기술 (IoT Convergence Service Technology)
-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사물인터넷 개념과 기술적 배경을 살펴보고 정보통신 관련 기술들을 사물인터넷 관점에서 학습한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그리고 서버 등의 하드웨어를 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 등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수행한다.
-
- 정보보호 (Information Security)
- 네트워크에 적용할 알고리즘과 보안 알고리즘의 종류별 특성 및 암호 프로토콜의 특성에 대해 배운다
-
- 네트워크서비스관리실습 (Practice of network service management)
- 네트워크서비스의 품질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서비스네트워크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원활한 네트워크 운용을 위해 사전예방 점검하는 전문능력 기른다.
-
- IoT하드웨어시스템 (IoT Hardware System)
- 무선통신 하드웨어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무선통신 하드웨어의 구조와 블록별 특징을 이해하여 실무 중심의 무선통신 하드웨어를 설계에 대해 배운다.
-
- IOT컴퓨팅기초실습 (Practice of basic IOT Computing)
- IoT의 기반이 되는 인터넷과 웹에 대해 이해하고, HTML의 개념과 각종 태그 활용, xm l 문서의 구조와 구성 요소 이해, DTD를 이용한 문서 작성 수행, xm l Schema 기본 문법 활용 등에 대한 교육내용을 구성한다.
-
- 윈도우서버실습 (Practice of Windows Server)
- 서버 가상화 툴을 이용하여 윈도우 서버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설치 후 윈도우 서버의 기본적인 관리 방법을 배운다 .
-
- 디지털공학실습 (Digital Enginnering Laboratory)
- 통신의 신호 처리, 데이터 전송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실습으로서 디지털 기본회로, 논리회로, 순차회로, 연산회로, 카운터 등을 실험을 통하여 이해하고 각종 디지털 응용회로 설계 등을 배운다.
-
- 데이타베이스 실습 (Practice of Database)
-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을 바탕으로 DB구축, Web과 DB의 연동을 실습을 통하여 배운다.
-
- 프로그래밍기초실습 (Practice of Programming Basic)
-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문제해결의 방법과 절차를 학습하기 위해 포인터 이해, 구조체 및 공용체 등에 대해 배운다.
-
- 프로그래밍응용실습 (Practice of programming application)
- 객체지향언어의 특성과 C++언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클래스, 상속성, 다형성에 대한 기반한 C++ 언어의 구문구조 이해 및 응용프로그래밍 기법을 배운다 .
-
- 리눅스서버실습 (Practice of Linux Server)
- 서버 가상화 툴을 이용하여 리눅스 서버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기초 리눅스 서버 관리 방법을 배운다.
-
- 서버구측응용실습 (Practice of server building application)
- 안정적인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서버 요건을 정의하고 기능을 적용하며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전문 능력을 기른다.
-
- 통신네트워크실습 (Practice of Communications Network)
- 네트워크와 통신장비 성능, 트래픽 부하분산 구조 및 전송경로, 보안체계 구축에 대해 배운다.
-
- 네트워크보안실습 (Practice of Network Security)
- 콘텐츠네트워크서비스 보안의 범위를 정의하고 보안 항목을 도출하여 보안 목표 및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보안 자원할당과 보안환경을 구성하여 보안 장비를 설치 및 시험하며 보안 현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전문 능력을 기른다.
-
- 정보통신회로기초실습 (Practi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ircuit basic course)
- 통신회로를 설계를 위한 회로 동작 원리를 이해하여 회로를 설계하고 관련 장비 사용법을 숙지하고 설계된 회로를 정정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
- 정보통신회로응용실습 (Practi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ircuit application)
- 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회로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적용하여 응용 시스템의 회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실습을 통하여 배운다.
-
- 자바응용실습 (Practice of java application)
- 자바언어의 학습을 통해 어플리케이션과 안드로이드 모바일 프로그래밍의 토대를 마련하고 자바고급프로그래밍 전문 능력을 기릅니다.
-
- 정보보호실습 (practice of Information protection)
- 무선데이터통신서비스 시스템 보안을 위하여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운영절차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적용하며, 운용 콘텐츠, 요소별 운용방법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고 적절한 운용 콘텐츠 보안 대책을 수립하고 보안을 세부적으로 적용하는 전문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
- 정보통신캡스톤디자인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pstone Design)
- 학생들이 정보통신공학과에서 배운 내용을 종합하고 현장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학과에서 배운 정보통신기초지식과 정보통신소프트웨어, 정보통신 서버시스템, 정보통신 네트워크시스템, 정보통신 보안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적용한 현장실무 중심의 정보통신서비스에 대하여 학습한다. 따라서 앞에서 배운 전공이론 및 실습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수행 방법론을 배우고 첨단 정보통신기술 동향을 배우고 실험실 수준의 사물인터넷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한다.
-
- 현장실습 (Field Training)
- 산업체에서의 현장실습 경험을 통하여 콘텐츠네트워크서비스, 무선데이터통신서비스 직무를 더욱 실제적으로 배운다
-
- 콘텐츠전송기술실습 (Practice of content transmission technology)
- 고객이 요구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현행 시스템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신규 시스템 환경의 개선방향을 파악하며 시스템 요구사항을 분석에 대해 배운다
-
- IoT무선통신제어실습 (Practice of wireless communication)
- 안드로이드 플랫폼기반의 개발환경을 구축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 응용프로그램의 기능과 SW 소스코드 작성에 대해 배운다.
-
- 무선통신응용실습 (Practice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
- SW 플랫폼을 활용하여 센서 및 블루투스 장치를 이요한 모바일 앱을 구현하고 응욯할 수 있는 전믄능력을 기릅니다.
-
- 시스템보안실습 (Practice of system security)
- 시스템 보안을 위하여 수립된 수준진단 계획 토대를 통해 진단하고 수립된 대책을 통해 인프라와 무선 보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며, 개인정보보호법을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위험을 평가 및 관리하는 전문능력을 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