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영역
대학혁신지원사업 목표

{민·관·산·학 거버넌스를 활용한 파급효과}
사업목표 민·관·산·학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미래교육 혁신
- 01.중장기발전계획 및 특성화전략수립 -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써 대학의 책무를 다하기 위한 정책 수립 (전략, 과제 등) - ESG를 기반으로한 분야별 프로그램 협력체계 등 수립 - 중장기발전계획과 연계한 재정지원사업 전략, 사회적 가치실현 계획 수립
- 02.중장기발전계획과 연계한 재정지원사업 전략, 사회적 가치실현 계획 수립 - 중장기발전계획과 연계한 재정지원사업 전략, 사회적 가치실현 계획 수립 -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 시제품 제작 및 교육기부 등 프로젝트 수행
- 03.지자체 경쟁력 강화 -지역사회 현안에 대한 문제해결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지역 경쟁력 확보 - 교육기부 및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구성원의 삶의 질 제고 - 민·관·산·학 거버넌스 성공모델 실현
- 04. 지역 및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재 배출 - 신기술 활용과 현장중심형 교육을 통한 전문기술인 양성 및 배출 - 지역 및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여 대학의 이미지 제고 기대
지역사회 상생발전 도모
- 01. 대학의 정책방향 결정/li>
- 02. 지역사회 문제해결/li>
- 03. 지역사회 발전/li>
- 04. 역량겸비 서일인재 양성/li>
사업 및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거버넌스별 역할
- 대학 및 혁신지원사업단 - 대학이 ESG를 기반으로 각 분야별 정책, 프로그램 등 방향 설정 - 대학이 주도적으로 민·관·산·학 거버넌스 운영 - 대학이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을 지역사회에 공유하여 상생발전 도모
- 지자체 및 공공기관 - 지역 내 취약계층(어린이, 어르신) 대상의 봉사활동 및 교육기부 수혜자 모집 - 관·학 협력 사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체계 구축 -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매뉴얼 배포
- 산업체 및 민간단체 - 지역 내 취약지구에 대한 주민, 구성원 의견수렴 - 대학의 봉사활동 및 교육기부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율 제고 - 전공 연계 봉사활동 추진을 위한 산업체 전문가 자문
대학혁신지원사업 추진 방향

대학비전학생 성공 가치를 실현하는 미래 교육 혁신 대학
사업목표 민 · 관 · 산 · 학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미래 교육 혁신
- 서일 미래교육 활성화 4대 세부내용, 11개 세부과제 학생성공을 위하여 교육과정, 교육환경, 교육의 질 관리, 대학의 행·재정적 지원 체계 확보
- 산업혁신 선도대학 2대 세부내용, 4개 세부과제 산학 상생발전, 네트워크 활성화, 현장중심형 교육 등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대학의 역할 확대
- 사회적 가치 혁신 3대 세부내용, 3개 세부과제 지역발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교육기부, 봉사활동 등의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 도모
중장기 5대 전략 및 특성화 전략
- 미래 교육 체계 강화 1-1.역량기반 미래교육 고도화 1-2.평생직업 교육체계 강화 1-3.교육품질 고도화
- 산학-지역협력 가치 창출 2-1.산학협력 고도화 2-2.현장중심 교육 강화 2-3.지역사회 기반 상생가치 실현
- 학생 친화형 캠퍼스 확대 3-1.공유 플랫폼확충 3-2.안전 캠퍼스 조성 3-3.행복 캠퍼스 확대
- 학생 성공 역량 강화 4-1.학생성공 지원체계 고도화 4-2.학습역량 지원 강화 4-3.진로·심리 지원 강화 4-4.취·창업 지원 강화
- 성장 주도 대학 혁신 5-1.합리적 의사결정 강화 5-2.성과창출 인사·조직혁신 5-3.대학재정 건전성 확보 5-4.우수 입학자원 확보
- 대학 브랜드 특성화 추진 6-1.ICT-AI 기반 휴먼 케어 미래 교육 6-2.ICT-AI 교육환경 구축 및 운영 6-3.ICT-AI 기반 산학 및 지역 협력 강화
혁신지원사업 전략
- 서일 미래교육 활성화 (교육혁신) 서일 역량기반 미래교육 강화 미래교육 선도형 교육환경 조성 수요자 중심 교육의 질 관리 학생성공 지향 지원체계 확대
- 산업혁신선도대학 (산학협력혁신) 산학 네트워크 기반 성과 창출 강화 현장중심형 산학 연계 교육 활성화
- 사회적 가치 혁신 (기타혁신) 거버넌스 기반 사회적 가치 창출 지역연계 ICT-AI 특성화 지원 대학 일상 회복 지원
- 사업관리 및 운영 대학 운영 혁신전략 공공성 및 투명성 강화 사회적 가치 실현 계획 대학간 공유·협력 강화
가용자원 현황
조직구성
- 대학본부 및 산학협력단 대학본부 - 6개 부처 및 12개 부속기관 - 4개 계열, 29개학과 산학협력단 - 운영팀장 1명, 회계 1명, 운영지원 2명 - 산학협력단운영팀 외 9개 조직
- 혁신지원사업단 혁신운영본부 - 대학 파견 3명(교원2명, 직원 1명), - 전담인력 12명(신규채용) 공유·협력 거버넌스 및 협의체 - 혁신지원사업 수도권 실무자협의회 - 권역별 SCI 협의체
- 중랑구 및 공공기관 중랑구청 - 6개국, 41개과, 16개 주민센터 - 지역사회 협력 자문위원회 공공기관 - 민·관·공·학 실무위원회 - 지역사회협력 자문위원회
교육환경
- - Seoil Maker Center, 공유주방 등 최신 실습실 구축 - 열린미디어센터, AR / VR 실습 공간 등 공용 체험센터 구축
- - SU스퀘어 등 자기주도 학습공간 구축을 위한 재정 투자 - 최신 실습실 구축을 위한 우선투자 계획 수립
- - 신내 첨단산업단지 및 중랑 창업지원센터 건립 - 방정환 교육지원센터, 오피스 회의실 등
교육 및 문화
- - ICT, AI 등 신산업 관련 전문인력 및 최신장비 보유 - 교육기부, 봉사활동을 위한 재원 확보
- - 산업체 및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특성화 지원 - 취약계층 대상의 교육기부, 봉사활동 프로그램 추진
- - 중·대형 도서관 연차별 확충 계획 수립 - 공공기관을 활용한 생활문화 (독서, 한지 공예 등) 프로그램 운영 지원